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주식이야기 : 주린이 배당락 이해하기

by 시소시소4 2022. 12. 11.
반응형

안녕하세요.

주식이야기 : 주린이 배당락 이해하기 편을 작성하였습니다.

 

주린이에게 주식에 관련된 용어가 쉽지 않은데 이곳은 주린이들이 쉽게 주식 투자할 때 이해할 수 있도록 아주 아주 쉽게 설명한 공간이니 많이 애용해주세요.

 

그럼 빨리 배당락에 대해서 살펴볼게요.

배당락 : 주식을 소유한 사람에게 배당하고 가격이 그만큼 주식 가격이 떨어지는 것.

이해가 쉽지 않다구요?

 

아래는 한국증권거래소에서 소개하는 배당락(권리락)입니다.

배당락(권리락) - 한국증권거래소 홈페이지

위의 그림으로 모두 이해가 되시지 않는다면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
우리가 국내 증권시장에서 주식을 사면 저희는 그 회사의 주주로서 주인이 되는 것입니다.

즉 100개의 주식이 있는 회사에서 저희가 1주를 산다면 저희는 그 기업의 1%를 소유하게 되는 것이죠.

그리고 기업은 1년 동안 기업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해냅니다.

이 수익금을 보통 연말에 주주들과 나누게 되는데 이것이 배당입니다.

만약 1000만 원의 수익을 냈는데 그것을 모두 주주와 나누는 것은 아니고 기업이 계속된 발전을 하기 위해 90%는 회사 가치에 투자하면서 신사업도 하고 연구개발도 하면서 기업의 가치를 높이려 노력합니다.

나머지 10%를 주주에게 이익을 나누는 배당을 수행한다고 가정할게요.

그러면 100만 원(1000만 원의 10%)을 제가 1%의 지분을 가지고 있으니 1만 원을 배당받게 되는 것입니다.

 

현재 제가 가지고 있는 주식 1주가 50만 원이라고 한다면,

1만 원의 배당을 받은 후 49만원이 정상가격이라고 생각하는 거이죠. 왜냐면 50만원에는 1만원의 배당받을 가치가 포함되어 주식이 거래되고 있다는 가치를 부여한 것입니다.

그러나 매년 배당을 꾸준히 1만 원 이상씩 받는 다면 이러한 배당락은 곧 소멸되고 다시 배당을 받을 값어치가 주식에 반영되므로 배당락 이후 주가는 곧 원래 주가로 회복하는 탄성이 있습니다.

 

이 것을 또 1월 효과라고 하는데 오늘은 너무 많이 배우면 머리가 복잡하니 배당락에 대해서 여기까지 살펴보겠습니다.

보통 배당락은 마지막 거래일 -1일입니다.

올해는 12월 30일이 마지막 주식 거래일로서 주식을 사고 주주 명부에 등재되려면 -2일인 12월 28일까지 주식을 매수하여야 합니다. 12월 29일(-1일)부터는 주식을 사도 주주 명부에 등재가 되지 않으므로 12월 29일이 배당락이 되는 기준일입니다.

 

조금 이해가 되셨나요?

주식 이야기 : 주린이 배당락 이해하기였습니다.

그럼 모두 성공 투자하세요~!

반응형

댓글